2021년 12월 21일
December 21, 2021
2021년 11월 20일
November 20, 2021
2021년 11월 4일
November 4, 2021
2021년 10월 25일
October 25, 2021
2021년 10월 14일
October 14, 2021
2021년 10월 7일
October 7, 2021
2021년 9월 23일
September 23, 2021
2021년 9월 16일
September 16, 2021
2021년 9월 8일
September 8, 2021
‘텔레톤(텔레비전+마라톤)’은 〈다정한 이웃〉의 시작을 알리는 첫 프로그램으로, 1950-60년대 자선 모금 버라이어티 방송 형식에서 착안하여 제작한 영상이다. 대담, 낭독, 토크쇼와 밴드 공연을 각각 촬영하고 마라톤처럼 이어서 편집한 120여 분의 텔레톤이 지난 8월 28일 〈다정한 이웃〉 웹사이트를 통해 방영되었다. 세 미술관은 각자의 아카이브를 되돌아보고, 미술 공동체를 중심으로 기능해 온 미술관의 과거와 오늘, 번역과 소통의 문제, 네트워크를 둘러싼 기술과 미디어의 역할을 이야기하며 연대와 공생의 의미를 찾는다. 텔레톤을 위해 아르코미술관은 안규철 작가와 권태현 독립 큐레이터, 아트선재센터는 시인 오은과 미술 비평가 콘노 유키, 백남준아트센터는 아티스트 콜렉티브 배드 뉴 데이즈를 초대했다. 또한 가수 겸 배우 신성우와 새소년 밴드의 보컬 황소윤이 각각 작가 정재철과 백남준의 글을 낭독하고, 멀티네셔널 얼터너티브 케이팝 그룹 바밍타이거가 세 미술관에서 공연을 펼쳤다. 영상은 다양한 관객의 접근성을 고려하여 국영문 자막과 수어 통역을 제공한다.
To kick off Kind Neighbors, a telethon was streamed online through the Kind Neighbors website on August 28. The term “telethon” was coined with “television” and “marathon” for charity fundraising TV shows in the 1950s and 1960s. The Kind Neighbors telethon is a compilation of conversation, talk show, reading and performance, which were filmed individually and edited into a marathon-like 120-minute broadcast. In this telethon, the three museums look back their archival materials and navigate the new meanings of living and working together by talking about their past and present as museums in art communities. Issues such as translation and communication, and the role of media technologies in the networked environment is also discussed. For the telethon, ARKO Art Center invited artist Kyuchul Ahn and independent curator Taehyun Kwon; Art Sonje Center invited poet Eun Oh and art critic Konno Yuki; and Nam June Paik Art Center invited artist collective Bad New Days. Singer and actor Sung Woo Shin and the vocalist of indie rock band SE SO NEON, Soyoon Hwang read the writings of artists Jae Choul Jeoung and Nam June Paik, and multinational alternative K-pop group Balming Tiger staged a performance in these museums. For the wide accessibility of diverse audiences to the telethon, Korean and English subtitles and sign language interpretations are provided.
[00:00:08] 아르코미술관: 다정한 이웃들의 반상회
(패널: 안규철, 권태현)
[00:37:07] 신성우 낭독
—정재철 작가 노트
[00:42:50] 바밍타이거 특별 공연 “Off Road Jam”
by Mudd the Student
—아르코미술관
[00:45:03] 아트선재센터: 이웃, 경계, 언어
(패널: 오은, 콘노 유키)
[01:24:16] 바밍타이거 특별 공연 “Just Fun”
by Omega Sapien, wnjn, Sogumm
—아트선재센터
[01:27:24] 황소윤 낭독
—백남준 “예술과 위성”(1984)
[01:33:45] 백남준아트센터: 토크쇼 — 굴절의 문화사
(패널: 배드뉴데이즈)
[02:00:19] 바밍타이거 특별 공연 “Kolo Kolo”
by Omega Sapien, wnjn
—백남준아트센터
[00:00:08] ARKO Art Center: Bansanghoe
—Kind Neighborhood Meeting
(Panel: Kyuchul Ahn, Taehyun Kwon)
[00:37:07] Sungwoo Shin Reading
—Jeoung Jae Chul Artist Note
[00:42:50] Special Performance
—“Off Road Jam”
by Mudd the Student of Balming Tiger
@ARKO Art Center
[00:45:03] Art Sonje Center: Neighbors, Borders and Languages
(Panel: Eun Oh, Konno Yuki)
[01:24:16] Special Performance
—“Just Fun”
by Omega Sapien, wnjn, Sogumm of Balming Tiger
@Art Sonje Center
[01:27:24] So Yoon Hwang Reading
—Nam June Paik “Art and Satellite” (1984)
[01:33:45] Nam June Paik Art Center: Chatshow — A Cultural History of Distortion
(Panel: Bad New Days)
[02:00:19] Special Performance
—“Kolo Kolo”
by Omega Sapien, wnjn of Balming Tiger
@Nam June Paik Art Center
9월 11일 오전 11시에 진행된 이 온라인 토크는 베니스비엔날레 건축전 한국관 〈미래학교〉의 핵심 프로그램인 생성대화 시리즈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신혜원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예술감독의 초대로 임근혜 아르코미술관 관장, 김성은 백남준아트센터 관장, 김해주 아트선재센터 부관장과 함께 이성원 거꾸로캠퍼스
이사장, 엄윤미 C프로그램 대표가 한 자리에 모였으며, 거꾸로캠퍼스, 다정한 이웃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팬데믹 시기 학교와 미술관의 새로운 방향성과 유연한
역할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미래학교〉의 생성대화의 형태와 방향은 참여자들에 의해 정해지며 매회 다른 그룹이 열린 대화를 위해 새로운 생각, 행동, 사유의 연쇄를 함께 생성하게 됩니다.
주제 탐구적이고 과정 지향적인 온라인 생성대화는 위기의 시대에 앞으로 나아갈 길을 찾기 위한 미래지향성 수단이기도 합니다.
This online talk programme took place on 11 September at 11AM as a part of Generative
Dialogues for the Korean Pavilion, Future School, at the 17th Venice Biennale
International Architecture Exhibition. Creative Director Hye-won Shin invited
participants Jade Keun Hye Lim (General Director, ARKO Art Center), Seong Eun Kim
(Director, Nam June Paik Art Center), Haeju Kim (Deputy Director, Art Sonje Center),
Sungwon Lee (CEO, G-School) and Yoonmee Ohm (CEO, C-Program) to discuss new direction
and adaptable roles of schools and museums through case studies of G-School and Kind
Neighbors programs.
Future School’s Generative Dialogues are a core part of the programming, providing
occasions for exploratory, process-oriented engagement with various subjects central to
Future School’s ethos. The shape and direction of each dialogue is determined by its
participants. The Generative Dialogues open conversation that generates new ideas,
actions and chains of thought as a tool to find a way forward in times of crisis—a way
to bring people together towards positive action.
예술감독
신혜원(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예술감독)
모더레이터
임근혜(아르코미술관)
참가자
김성은(백남준아트센터, 다정한이웃)
김해주(아트선재센터, 다정한이웃)
이성원(거꾸로캠퍼스, 베니스비엔날레 건축전 한국관 참여)
엄윤미(씨프로그램, 〈미래학교〉 공동저자)
Creative Director
Hye-won Shin (Future School)
Moderator
Jade Keun Hye Lim (ARKO Art Center)
Participants
Seong Eun Kim (Nam June Paik Art Center)
Haeju Kim (Art Sonje Center)
Sungwon Lee (G-School)
Yoonmee Ohm (C-Program)
이옥경은 실험적 퍼포먼스와 즉흥 연주, 다양한 협업과 작곡을 하고 있는 첼리스트, 작곡가, 즉흥
연주가이다. 미술계에서도 활발히 활동하여 크리스찬 마클레이, 하룬 미르자 등과 작업하고, 베니스 비엔날레, 서펜타인 갤러리, 휘트니 미술관, 뉴욕 모마 등에서
연주하였다. 백남준아트센터도 여러 차례 협업하였는데, 그 중 2013년
〈백조: 폴리에스터로 리플레이하다〉, 2021년 〈÷ / +〉를 다정한 이웃에 소개한다.
2013년 연주는 백남준과 샬럿 무어먼의 〈생상스 테마 변주곡〉을 연상시킨다. 이옥경의 첼로는 땅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채 움직인다. 청중에게 매우 가깝게
다가가기도 하면서 카세트테이프의
녹음과 주고받는 연주가 20분 동안 이어진다. 2021년에도 이옥경은 플럭서스를 주제로 한 전시실 곳곳을 첼로와 함께 자유롭게 누빈다. 감염병의
거리두기라는 조건으로 달라진 관객의 움직임과 시선 속에서 두 시간 동안 즉흥 연주를 해 나가는 가운데, 각 관객은 10분씩의 감상 시간이
주어진다. 기록 방식이 상이한 두 편의 영상을 통해 미술관에서 라이브니스, 현장성, 플레이와 리플레이의 의미, 관객과 예술이 맺는 감각적인
경험의 관계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한다.
Okkyung Lee is a cellist, composer and improviser, engaging in experimental
performances, improvisations, compositions and various collaborations. She is active in
the fields of visual art, too, working together with such artists as Christian Marclay
and Haroon Mirza, and performing at the Venice Biennale, Serpentine Gallery,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and MoMA in New York, among others. Nam June Paik Art Center has
also collaborated with Lee on several occasions. To Kind Neighbors, we’d like to
introduce her The Swan: Replay in Polyester (2013), and ÷ / + (2021).
The 2013 performance recalled Nam June Paik and Charlotte Moorman's Variations on a
Theme by Saint-Saens. Lee’s audiovisual back-and-forth movements interacted with
her
recordings of cassette tapes for twenty minutes. She held a cello not in a fixed
position, and sometimes approached the audience very closely. Likewise, in 2021, Lee
roamed freely around a Fluxus-themed gallery improvising for two hours. This was
particularly under the condition of pandemic distancing that fundamentally changed the
gazes and movements of the audience, each of whom was given only 10 minutes for joining
her in the performance. The two videos of different recording methods will be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the significances of liveness, situatedness, play and replay,
and the relationships of the audience’s sensory experiences with art in the museum.
[00:00] 이옥경, 〈÷ / +〉 (2021)
백남준전 《웃어》 연계, 백남준 89번째 생일 기념 퍼포먼스
(타임랩스영상, 무음)
〈÷ / +〉
[02:48] 이옥경, 〈백조: 폴리에스터로 리플레이하다〉 (2013)
에든버러대학교 탤봇라이스갤러리 공동기획전 《백남준의 주파수로》 연계 퍼포먼스
(23:00, 사운드)
〈백조: 폴리에스터로 리플레이하다〉
[00:00] Okkyung Lee, ÷ / + (2021)
In conjunction with the exhibition Humor Has It, and events to celebrate Paik’s
89th birthday
(time lapse video, no sound)
〈÷ / +〉
[02:48] Okkyung Lee, The Swan: Replay with Polyester (2013)
In conjunction with the exhibition Transmitted Live, co-curated by Talbot Rice
Gallery,
University of Edinburgh
(23:00, sound)
The Swan: Replay with
Polyester
‘오픈 북마크. 오픈 북토크’는 컴퓨팅 교육에서 출발해 교육의 근원적인 목적을 성찰한 고전 『마인드스톰: 어린이, 컴퓨터, 배움 그리고 강력한 아이디어』(저자: 시모어 패퍼트)을 함께 읽고 낭독하는 온라인 북토크이다. 백남준아트센터 기획전 《오픈 코드. 공유지연결망》 서가에 전시된 책들 중 한 권인 『마인드스톰』을 각자의 공간에서 미리 읽고 누구에게나 열린 창작 도구이자 생각의 도구로 코딩을 살펴보는 시간을 가졌다. 참여자들은 온라인 만남 전에 각자의 북마크와 질문을 미리 공유하고, 온라인 토크 중에는 각자의 북마크를 낭독하면서 공동 문서 작업으로 키워드를 시각화하며 책읽기를 진행했다. 이는 텍스트를 소리내어서 말하고 듣는 “낭독”의 형식이 온라인에서 공동의 경험을 쌓는 동시에 눈으로 지나친 문장을 다시 공유할 수 있다는 믿음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오픈 코드》 전시 참여작가이자 이 책의 한국어판을 펴내는 데 함께 하기도 한 김승범, 최승준의 진행과 참여자들이 선정한 문장들을 함께 읽는 행위를 통해 기술 매체에 대한 선호와 공포를 이야기하고, 학습 공동체의 연대와 공생의 의미를 찾는다. 이 프로그램은 2021년 10월 1일에 열렸다.
Open Bookmark. Open Book Talk is an online book club that is an accompanying program of the exhibition Open Codes. Networked Commons. One of the books on the shelves as part of the exhibition, Mindstorms: Children, Computers, and Powerful Ideas written by Seymour A. Papert, deals with codes as a tool and a language. For this book talk, participants shared their own bookmarks and keywords about the book in advance. At the online meeting of the book talk, they discuss the possibility of coding from various perspectives by reading and reciting books in their own places. It explores a learning community with coding that is a creative tool of thought open to anyone. Open Bookmark. Open Book Talk is moderated by Kim SeungBum, one of the participating artists in the exhibition, and Choi SeungJoon, who contributed to the Korean version of this publication. This event took place on October 1, 2021.
00:00:00 북토크 및 진행자 소개
00:02:43 마인드스톰 한 단어 소감, 사전 낭독문 취합 결과 잼보드 구성
00:05:26 참여자 북마크 낭독 A조 (윤자형, 최소은, 이정렬, 임지혜) 키워드: 어린이를 위한 컴퓨터, 컴퓨터와 컴퓨터 문화
00:21:40 참여자 북마크 낭독 B조 (오현화, 이*원, 김은희, 김윤서) 키워드: 수학공포증, 삼바 학교, 학습 공동체의 미래
1:00:50 낭독 후기, 디버깅
협찬
인사이트
연계전시
백남준아트센터 기획전 《오픈 코드. 공유지연결망》 (2021.7.1. -
10.24.)
00:00:00 Introduction
00:02:43 Keywords sharing via a digital interactive whiteboard
00:05:26 Group A reading bookmarks
* keywords: computers for children, computers and computer cultures
00:21:40 Group B reading bookmarks
* keywords: mathophobia, samba school, images of a learning community
1:00:50 Wrap-up by debugging
Sponsorship
InsightBook
Related exhibition
Open Codes. Networked Commons (Jul 1 ― Oct
24, 2021)
2021년 7월부터 9월까지 진행된 『월간 인미공』은 인미공의 시각예술 연구–기획–발화의 역할을 재고하고자 기획되었습니다. 인미공의 아카이브 자료와 매달의 주제를 다양한 창작자들의 이미지 및 글과 연결 및 충돌시켜 문제의식을 드러냈고 인미공 2층 공간과 온라인을 활용해 그 내용을 공개했습니다. 7월에는 “접힌 경계: 안과 밖”, 8월에는 “점멸하는 집”, 9월에는 “이동하는 세계: 단축과 연장”을 주제로 팬데믹 이후의 이동/이주의 변화, ‘내’ 공간을 지키는 일의 어려움, 지역/계층 간 경계에서 밀려나거나 소외되는 존재 등 오늘날 우리가 딛고 있는 곳의 단면을 탐구했습니다.
“Monthly Insa Art Space” is a program running from July to September 2021 to study and present artists and researchers’ work in accordance with different subject selected each month. These monthly Zine chose three topics each month—“Boundaries in Disguise: Inside Outside” in July, “Flickering Homes” in August, and “World on the Move: Shortened vs. Extended” in September—to explore issues involving locality and mobility.
월간 인미공 다운로드
7월호 “접힌 경계: 안과 밖”
8월호 “점멸하는 집”
9월호 “이동하는 세계: 단축과 연장”
Download Monthly Insa Art Space
July Issue “Boundaries in Disguise: Inside
Outside”
August Issue “Flickering Homes”
September Issue “World on the Move: shortened vs.
Extended”
네덜란드 로테르담에 위치한 쿤스트인스티튜트 멜리는 2017년에 시작된 오랜 대화와 과정을 통해 기관의 새로운 이름을 갖게 되었습니다. 이 영상은
쿤스트인스티튜트 멜리의 비비안 지허를(연구 및 프로그램 매니저)과 제시 코에이만(공동체 배움 큐레이터)을 초대해 ‘비트 데 비테’로 불리던 기관의 명칭을
변경하는 시도와 이 과정에서 중요한 연결 고리가 된 교육과 배움 그리고 이웃과 함께 하는 것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쿤스트인스티튜트 멜리
Kunstinstituut Melly, based in Rotterdam, the Netherlands, has given the institution a
new name after a long dialogue and process that began in 2017. This video invites Vivian
Ziherl (Research and Program Manager) and Jessy Koeiman (Collective Learning Curator)
from Kunstinstituut Melly, and talks about the initiative to change the name of the
institution that used to be called ‘Witte de With', and education, learning, and being
together with neighbors, which became important links in this process.
Kunstinstituut Melly
00:00 토크 및 참여자 소개
03:00 쿤스트인스티튜트 멜리 발표
40:18 질의응답
참여자
비비안 지허를(쿤스트인스티튜트 멜리)
제시 코에이만(쿤스트인스티튜트 멜리)
김해주(아트선재센터)
조희현(아트선재센터)
이 프로그램은 주한 네덜란드 대사관의 후원으로 제작되었습니다.
00:00 Introduction
03:00 Kunstinstituut Melly’s presentation
40:18 Q&A
Participants
Vivian Ziherl (Kunstinstituut Melly)
Jessy Koeiman (Kunstinstituut Melly)
Haeju Kim (Art Sonje Center)
Heehyun Cho (Art Sonje Center)
Supported by Embassy of the Kingdom of the Netherlands in Korea
2021년 9월과 10월에 걸쳐 우리 동네를 돌아다니며 동그라미를 사진으로 찍었다. 길바닥의 맨홀, 각종 교통 표지판, 집 앞에 버려진 음식 용기 쓰레기,
자전거와 오토바이 바퀴, 어둠을 밝혀주는 등불, 학교 운동장의 농구 골대 등 동그란 것이 보이면 카메라를 들이댔다. 그렇게 모은 수백 장의 동그란 사진들을
진주 목걸이처럼 엮어 하나의 영상을 만들어 보았다.
동그라미를 고른 이유는 모서리가 없기 때문이다. 둥글둥글 옹기종기 살아가는 우리 동네를 담아볼 요량이었다. 사진들을 정리하고 분류하다 보니 동그라미 안에
무언가를 금지하는 표지판이 이렇게 많았나 싶더라. 서로의 영역을 침범하지 못하게 하고, 서로를 감시하고 통제하고 금하는 딱딱한 단어들이 담긴 동그라미라니!
아름다운 동그라미가 이런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효율적이라고 생각한다는 사실에 조금 안타까운 마음이 들었다. 하지만 다르게 생각해보면, 이런 문구들이 삐죽삐죽한
말풍선에 담겨 있었으면 얼마나 더 공격적이고 시끄럽게 다가왔을까? 동그랗게 감싸 안은 것이 훨씬 다행인 일 아닌가 싶기도 했다.
이 영상에 담긴 모든 사진은 우리 집에서 산책삼아 걸어갈 수 있는 거리인 서교동, 동교동, 망원동, 성산동, 연남동, 상암동에서 찍었다. 소리는 따로 없다.
처음엔 동네 거리의 생활 소리를 녹음해 넣을까도 싶었는데 불필요한 특정 이미지를 연상시킬 수 있을 거 같아 그만두었다. 그냥 지금 여러분의 주변 소리나 창밖의
새 노랫소리, 자동차 소리, 혹은 듣고 있는 음악과 함께 보는 것이 좋겠다.
—조경규
I spent the months of September and October 2021 walking around my neighborhood
photographing circles. I turned my camera to every round thing I could see: manholes,
traffic signs, waste food containers in front of houses, bicycle and motorcycle wheels,
lights illuminating the darkness, basketball hoops on athletic fields, and so on. I then
strung those hundreds of round photos together like a pearl necklace to make a
video.
I chose circles because they have no edges. This was a way of capturing my neighborhood
as a place where we live in harmony. As I organized and categorized the pictures, I was
surprised at how many of the circles were signs prohibiting something or other. These
circles were filled with hard words – words that barred intrusion on each other’s
environments, words that monitored and controlled and forbade. It pained me a bit to
think that these beautiful circles were such an efficient way of sending such messages.
But I could also see it another way: how much louder and more aggressive would those
phrases have sounded if they’d been contained inside of jagged word bubbles? If
anything, I thought it was a mercy that they were surrounded by something round.
All of the photographs in this video were taken in Seoul neighborhoods within walking
distance of my house: Seogyo, Donggyo, Mangwon, Seongsan, Yeonnam, and Sangam. There is
no sound. Initially, I considered recording ambient sounds from the neighborhood
streets, but I decided not to, thinking it might needlessly conjure up certain images.
I’d prefer viewers to watch it alongside the sounds that are going on around them at
this moment – the birds or cars outside their window, or maybe the music they are
listening to.
—cho kyungkyu
작가 소개
조경규는 8살 때부터 만화를 그리기 시작했고 뉴욕 프랫 인스티튜트에서 그래픽 디자인을 전공한 후, 현재 시각 디자이너와 만화가로 활동 중이다. 2009년부터
안은미컴퍼니의 공연과 전시 디자인을 도맡아 하고 있고, 강익중의 시화집
〈달항아리〉와 〈사루비아〉 책 디자인도 했다. 2010년부터 카카오웹툰에서 〈오무라이스잼잼〉을 연재 중이다. 지은 책으로 〈800〉, 〈조경규대백과〉,
〈차이니즈봉봉클럽〉 등이 있다.
About Artist
cho kyungkyu began drawing comics at the age of eight. He studied graphic design at the
Pratt Institute in New York and currently works as a visual designer and graphic artist.
Since 2009, he has been in charge of performance and exhibition design for the Eun-Me
Ahn Company, and he also designed Ik-joong Kang’s poetry and painting collections Moon
Jar and Scarlet Sage. Since 2010, he has been publishing the series Omurice
jam jam on
Kakao Webtoon. His books include 800, CHO KYUNGKYU ENCYCLOPEDIA, and Chinese
bonbon club.
콜렉티브 뒹굴은 공연예술을 기반으로 하는 다원예술창작집단으로, 예술의 사회적 역할을 고민하는 동시에 대안적인 창작 방식 및 작업 환경에 대한 연구와 실험에 집중해 왔습니다. 2020년 ‘기후정의 창작집단’을 선언하고, 기후위기 예술인 세미나를 진행하는 등 작품 창작과 더불어 기후 위기에 대응하는 예술 방식, 생존 방식의 화해와 전환 방식을 고안해내고자 좌충우돌 중입니다.
Collective Doingle Around is a multidisciplinary art group based in performing arts practice. As they reflect on the social roles of art, they have focused on research and experimentation that seek alternative ways of creating art and working environments. They declared themselves as Climate Justice Creative Group in 2020 and produced projects, including organizing seminars for artists on the climate crisis.
〈배팅 로얄: 더 나은 미래 편〉은 2021년 아르코미술관 융복합 페스티벌 〈횡단하는 물질의 세계〉에서 진행된 라이브 아트로 기후정의에 대해 촉각적으로 사유하는 자리를 마련하는 관객 참여형 퍼포먼스입니다.
“Betting Royal: for_your_better_future” was one of the live art programs for “Nothing Makes Itself” ARKO Art & Tech Festival. The performance bids to provide tactile time to contemplate climate justice.
백남준아트센터, 아르코미술관, 아트선재센터는 〈다정한 이웃〉 프로젝트의 종료를 앞두고 지난 11월 27일 오후 7시 ‘다정한 이웃들의 대잔치’를 줌 웨비나로 진행했습니다. 세 기관의 실무자를 비롯해 다양한 역할로 프로젝트에 함께 한 여러 협업자들과 이웃이 한자리에 모인 가운데, 8월 28일부터 3개월간 진행된 〈다정한 이웃〉의 하이라이트를 돌아보며 못다한 이야기와 마지막 인사를 나눕니다.
To mark the end of the Kind Neighbors project, Nam June Paik Art Center, ARKO Art Center and Art Sonje Center held The Great Janchi of Kind Neighbors webinar on November 27th at 7 p.m. With team members from the three institutions and various other collaborators and neighbors, we reflected on the highlights of Kind Neighbors, the project on which we worked together for the past three months from August 28th and said our goodbyes.
[00:00:05] 인사 및 소개
[00:02:45] 다정한 이웃에게
[00:15:16] 텔레톤
[00:32:53] 플러그인
[00:53:33] 오디오북
[01:17:01] 텍스트코퍼스
[01:33:37] 마무리
[00:00:05] Introduction
[00:02:45] Dear Kind Neighbors
[00:15:16] Telethon
[00:32:53] Plug-in
[00:53:33] Audiobook
[01:17:01] Text Corpus
[01:33:37] Outro